[Python] 시각화 사용법 - matplotlib을 통한 line plot 그리기(lim,ticks 등등)
기본적인 함수를 넣어준다. 그 외에 추가적으로 그래프에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 함수를 하나 추가해준다.
line plot
데이터의 시간 순서등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는 그래프
-pyplot (기본적인 그래프 제공)
plt.title('line plot')
plt.plot([1,4,9,16])
plt.show()
plot을 통해 해당 값에 대한 선을 그린다.
title은 그래프의 제목을 뜻한다.
plt.show()는 그래프를 출력해준다.
-x축 y축 지정
plot([ x 축],[y 축])
-label 사용
plt.xlabel()
ply.ylabel()
x.label , ylabel 을 통해 x 축 label y축 label을 지정해준다.
-옵션 사용
-xlim, ylim : 구간설정
- tick(xticks, yticks) : 그래프의 축에 간격을 만든다.
-여러 개의 line plot 그리기
-라인 겹쳐 그리기
-legend 위치
matplotlib
- matplotlib 그림을 그리는 객체 , Figure, Axes, Axis 객체를 포함하고 있다.
- Figure -> 그래프를 그리는 바탕을 뜻한다.
- Axes -> plot
- Axis -> 축
figsize로 그래프를 그릴 바탕의 크기를 정한다.
지금은 하나의 figure에 하나의 그래프만 나왔지만 이것을 두 개로 나오는 것을 해보기로 하자
# subplot
하나의 figure에 두 가지 plot으로 그래프를 그린다.
그래프에 들어갈 값을 만든다.
subplot( x, y , z )
x = nrows, subplot의 행의 수를 나타낸다.
y = ncols, subplot의 열의 수를 나타낸다.
z = index, 인덱스를 나타낸다. 1부터 시작하며 순서는 위부토 오른쪽으로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설정된다.
이런 식으로 subplot을 보면 첫 번째 값은 2행을 가지며 열의수와 인덱스는 1을 나타낸다. 2행 1열 첫번째 인덱스에 그래프를 그린다고 생각하면 된다.
밑에 값은 2행 1열에 2번째 인덱스에 그래프를 그렸다.
이렇게 subplot의 값이 바뀜에 따라 그려지는 위치가 달라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