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gorithm

[Algorithm] 24강 : 계수 정렬의 정의와 구현코드

반응형

계수 정렬이란?

 

특정한 조건이 부합할 때만 사용할 수이지만 매우 빠르게 동작하는 정렬 알고리즘

-계수 정렬은 데이터의 크기 범위가 제한되어 정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때 사용

데이터의 개수가 N, 데이터(양수) 중 최댓값이 K 일 때 최악의 경우에도 수행 시간 O(N+K)를 보장

 

 

계수 정렬 동작 예시

 

1) step0

정렬할 데이터 : 7 5 9 0 3 1 6 2 9 1 4 8 0 5 2

가장 작은 데이터부터 가장 큰 데이터까지의 범위가 모두 담길 수 있도록 리스트를 생성

0 1 2 3 4 5 6 6 7 8
0 0 0 0 0 0 0 0 0 0

 

2) step2

정렬할 데이터 : 7 5 9 0 3 1 6 2 9 1 4 8 0 5 2

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며 데이터의 값과 동일한 인덱스의 데이터를 1씩 증가

0 1 2 3 4 5 6 6 7 8
0 0 0 0 0 0 0 0 1 0

= > 7 

 

이런 식으로 계속 진행

3) step3

결과적으로 최종 리스트에는 각 데이터가 몇 번씩 등장했는지 그 횟수가 기록

0 1 2 3 4 5 6 6 7 8
2 2 2 1 1 2 1 1 1 1

 

 

3) step4

결과를 확일 할 때는 리스트의 첫 번째 데이터부터 하나씩 그 값만큼 반복하여 인덱스를 출력

= >0 0 1 1 2 2 3 4 5 5 6 7 8

 

 

 

계수 정렬의 시간 복잡도

 

계수 정렬의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는 O(N+K)

계수 정렬은 때에 따라서 심각한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

ex ) 데이터가 0과 999,999로 단 2개만 존재하는 경우

계수 정렬은 동일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가 여러 개 등장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

ex) 성적의 경우 100점을 맞은 학생이 여러 명 일 수 있기 때문에 이때는 효과적

 

 

계수 정렬의 소스코드

 

# 모든 원소의 값이 0 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
array = [7,5,9,0,3,1,6,2,9,1,4,8,0,5,2]

#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리스트 선언(모든 값은 0 으로 초기화)
count = [0] * (max(array)+1)

for i in range(len(array)):
	count[array[i]] += 1: # 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값증가
    
 for i in range(len(count)): # 리스트에 기록된 정렬 정보 확인
 	for j in range(count[i]):
    	print(i,end=' ') # 띄어쓰기를 구분하는 등장한 횟수만큼 인덱스 출력

 

 

 


 

www.youtube.com/watch?v=m-9pAwq1o3w&list=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

이 자료는 동빈 나 님의 이코 테 유튜브 영상을 보고 정리한 자료입니다.

 

반응형